HSI "동물복제·생명존중 무시·연구를 위한 연구 그만해야"
HSI "동물복제·생명존중 무시·연구를 위한 연구 그만해야"
  • 이병욱 기자
  • 승인 2019.06.14 16: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 마리 복제견 탄생 위해 수 많은 실험견이 희생
동물권행동 카라(대표 임순례)가 지난달 8일 농진청의 반려동물연구사업에 대한 내용 공개 및 연구사업단장인 이병천 서울대 교수의 해임을 촉구했다.
동물권행동 카라(대표 임순례)가 지난달 8일 농진청의 반려동물연구사업에 대한 내용 공개 및 연구사업단장인 이병천 서울대 교수의 해임을 촉구했다.

 

이병천 서울대 수의대 교수의 사역견 불법 동물실험 및 학대 의혹으로 정부의 특수목적견 복제프로젝트 사업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국제 동물보호단체인 휴메인 소사이어티 인터내셔널(HSI)은 14일 논평을 통해 "동물복제와 생명존중 무시한, 연구를 위한 연구는 그만두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HSI는 우선 "탐지견 또는 특수목적견을 포함한 모든 동물에 대한 복제 실험에 반대한다"며 "동물 복제는 아직 실험적인 단계에 있으며 수많은 동물들의 희생이 따르는 엄청난 시행착오를 거치는 연구"라고 지적했다.

이어 "동물을 이용한 복제 연구는 생명을 실험 도구로 보기 때문에 실험 대상이 되는 동물의 복지가 고려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면서 "과학자들은 생명윤리 관점을 넘어서 복제라는 ‘기술’을 이용하려는 목적으로 동물을 착취하는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고 덧붙였다.

HSI는 또 '검역 탐지견으로 활동하다 퇴역 후 동물실험에 이용되고 있는 상황을 막아달라'는 국민청원에 대해 청와대가 지난 3일 답변을 하면서 동물복제에 대해선 원론적인 입장을 밝힌 것과 관련해서도 비판했다.

HSI는 "탐지견 복제 중단을 염원하는 국민의 청원에도 불구하고 청와대가 내놓은 답변은 복제를 위해 수반되는 동물 생명에 대한 존중과 동물복지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는 실망스러운 것이었다"고 평가했다.

HSI는 이어 "한국 정부처럼 특수목적견 훈련을 위해 동물 복제에 열을 올리는 것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면서 "기술을 이용하고자 하는 과학자의 호기심을 만족시키기 위한 연구를 지원할 게 아니라 실제로 동물의 희생을 줄이고, 동물생명윤리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에 부응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국가와 정부가 되길 바란다"고 제언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2012년부터 ‘특수목적견 복제생산과 보급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 특수목적견 양성의 경우 최종 합격 비율이 낮아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한 것이 복제다. 

농진청은 복제한 특수견의 경우 80% 이상의 합격률을 보여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고 소개하지만, 개를 복제하기 위해 이용된 동물의 수와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실험 동물은 실험 과정에서 고통을 받는다. 복제를 위해서는 실험견이 수술절차를 거치는 것이 불가피하다. 난자를 채취하고, 호르몬이 조절되고, 배아가 주입되고, 초음파 검사 등을 반복적으로 받는다.

우수 복제견 실험에 대한 논문을 보면 복제를 위해서 수백 개의 난모세포가 채취된다. 수많은 난모세포 채취를 위해서는 많은 수의 암컷 개가 필요하다. 

한 논문에 따르면 202개의 난모세포 채취를 위해 33마리의 개가 이용되었고, 다른 논문에는 544개의 난모세포 채취를 위해 51마리의 개가 이용된 것으로 나온다.

최근에는 복제 성공률이 개선됐다고 하지만 아직도 복제를 위해선 많은 수의 동물이 필요한 게 사실이다. 

2018년 대한수의학회지에 실린 서울대 이병천 교수의 논문에서는 복제 과정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18마리의 개가 난자 추출을 위해 이용됐고 총 127개의 배아가 8마리의 대리모견에 주입된 사실이 확인된다.

최종 7마리의 강아지가 태어났는데, 결국 7마리의 복제견을 탄생시키기 위해 최소 26마리의 개가 이용된 것이다. 
                                                                         
같은 논문에 실린 자료를 보면 대리모견의 임신 확률은 12.5~28.6%이고 대리모에게 주입된 배아 중 강아지가 실제로 태어날 확률은 1.7%~3.8%에 불과하다. 

해당 연구에서는 400개의 배아가 18마리의 대리모견에게 주입됐지만 이 중 4마리만 임신에 성공했다. 

이처럼 복제견 탄생에는 상상을 초월한 수의 실험견이 이용된다.  때문에 이병천 교수 연구팀은 실험에 개농장 개들까지 동원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우수한 유전자가 복제된 복제견의 경우 탐지를 위한 훈련 성과율이 높다고 하지만 관련 논문을 살펴보면 7마리의 복제견과 4마리의 일반견을 비교해 복제견의 탐지 능력이 더 우수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국내에서 복제탐지견이 사용되는 수는 2012년 7마리 이래 매년 15마리, 20마리, 25마리, 30마리, 32마리 등으로 늘어났고, 2018년에는 41마리로 급증했다. 

서보라미 HSI 정책국장은 "복제견 사용이 늘어난 이유는 정말로 복제견의 우수성이 입증되어서라기 보다는 복제견 생산을 위한 연구 사업을 앞장서 지원하는 한국 정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지적했다. 

서 국장은 이어 "동물을 복제한다는 것은 필요한 동물은 선별하여 쓰고, 쓸모가 없으면 폐기가 가능한 ‘상품’이라는 시각을 수반한다"며 "윤리적 문제뿐만 아니라 과학적, 경제적인 관점에서도 ‘복제’라는 기술의 활용을 광고하는 것 외에, 복제의 근본적인 필요성에 대해 사회적으로 신중히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