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동물실험 연이은 증가세, 대안 마련 시급하다
국내 동물실험 연이은 증가세, 대안 마련 시급하다
  • 이병욱 기자
  • 승인 2021.07.24 0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0년 한해  414만1433마리 실험에 동원…전년보다 11.5% 증가  
HSI "동물대체시험법 개발·보급·이용 확산 위한 공감대 형성해야” 
유전자가 편집되어 태어난 원숭이들.  중 연구원에 대한 강한 공포와 불안감을 보이는 수컷 원숭이.(사진 HSI 제공)
유전자가 편집되어 태어난 원숭이들. 중 연구원에 대한 강한 공포와 불안감을 보이는 수컷 원숭이.(사진 HSI 제공)

국제 동물보호단체 휴메인소사이어티인터내셔널(이하 HSI)이 늘어나고 있는 국내 동물실험과 관련해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23일 HSI 따르면 국내에서 법적 규제 등으로 인해 실험에 동원되는 동물의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발표한 '2020년 실험동물 사용 실태'를 보면 2020년 한해 동안 실험에 동원된 동물의 수는 모두 414만1433마리로 1년 전보다 11.5% 증가했다. 287만 여 마리가 실험에 동원된 2016년과 비교하면 무려 43.8%가 늘어난 수치다. 

세부 항목으로는 법적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규제시험에 동원된 동물이 179만5709마리로 가장 많았다. 

특히 규제시험 가운데 효능과 내성 테스트를 위해서 29만 9344마리가 실험에 동원됐는데, 이는 2019년에 비교해 약 900%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공업용 화학물질 관련 법률에 따른 시험에는 전년 대비 43% 감소한 2만9810마리가 동원됐다. 

이와 관련해 HSI는 동물실험을 요구하는 여러 관련 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동물대체시험법의 도입 등 적극적인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HSI가 그동안 주요 입법 활동을 전개했던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 개정안은 동물대체시험법 활용을 우선하도록 하는 조항이 포함돼 2019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국제적으로 검증된 비동물 시험방법의 활용이 부족하고 아직도 오래된 동물모델에 의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해 전국 9개 국립대학에 동물실험센터 신축을 위한 예산 1500억원을 확보했다. 올해부터 2023년까지 새로운 동물실험센터를 국립대학에 건설할 예정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바이오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1년 전체 사업예산 가운데 동물실험과 관련한 예산 비중은 28.6%를 차지하고 동물대체시험 등 차세대 기술 개발 예산 비중은 1.36%에 불과하다.

반면 해외에서는 글로벌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사람의 장기를 모사하는 장기칩 또는 오가노이드와 같은 기술과 컴퓨터 기반의 인실리코 같은 방법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동물대체시험법은 동물 모델로 사람의 치료법을 연구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안전성과 효능 평가를 향상시켜 임상시험 단계에서 후보물질 선정의 실패율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보라미 HSI 정책국장(HSI한국 대표 직무대행)은 "동물보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높아가지만 시민이 볼 수 없는 실험실에서는 작년 한해 매일 1만 마리 이상이 실험으로 죽어갔다”며 “공공과 민간기관이 함께 동물에 대한 의존을 줄여야 하며, 첨단기술을 활용하는 비동물시험법 개발, 보급, 이용을 확산하기 위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국회에는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대표발의한 ‘동물대체시험법의 개발, 보급 및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안을 발의돼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